시편

시편

  1. 강소라. “시편 1권의 ‘복 있는’ 구절에 나타난 행복.” 성서학 학술세미나, (2009): 1-10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79134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2. 강정주. “시편 132편과 다윗 언약.” 개신논집 6 (2006.11): 63-91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202251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3. 김경식. “바울은 왜 로마서 2장에서 행위 심판을 말하는가?.” Canon&Culture 1 (2007): 239-271.
   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7750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4. 김근주. “마태복음의 시편 사용 연구.” 성경원문연구 26 (2010): 89-112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269053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5. 김상기. “시편 1편의 구조적 이해.” 성경원문연구 32 (2013): 50-70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268229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6. 김성수, “시편의 해석 방법과 설교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52 (2011): 33-54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228095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7. 김수천. “시편에 나타난 삶의 세 주기(Oriented, Disoriented, Reoriented)의 영성 고찰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3 (2017): 257-282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709105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8. 김정우. “구성적 관점에서 본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들(시편 120-134)의 통일성.” 신학지남 77 (2010): 13-32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554793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9. 김창주. “‘행복’과 ‘복’의 이중주.” 성경원문연구36 (2015): 51-79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295830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0. 김태경. “시편의 경제 신학 및 경제 윤리에 관한 연구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82 (2012): 75-98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288657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1. 문은미. “시편의 구성적 접근을 통한 시편 제4권의 이해.” Canon&Culture 3 (2009): 177-209. Print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2280917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2. 민경구. “시편23편에 나타난 שוב 이해.” 피어선 신학 논단 4 (2015): 195-214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518258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3. 박영준. “시편 49편의 편집사적 이해.” Canon&Culture 5 (2011): 155-186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406516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4. 박영희. “하나님의 호칭으로서의 משכבי와 시편 62편 7절의 새 번역.” 신학논단 67 (2012): 43-62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820925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5. 박형대. “신약의 시편 설교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52 (2011): 107-123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80956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6. 방정열. “시편 제1-3권의 정경 형성 단계에 대한 고찰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3 (2017): 63-90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7091045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7. 이윤경. “쿰란 시편사본과 페셰르 시편을 통해 본 쿰란공동체의 신학.” Canon&Culture 10 (2016): 147-171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727101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8. 이희성. “시편 89편과 이사야 55장의 상관성 연구.” Canon&Culture 10 (2016.4): 91-121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727099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9. 전봉순. “시편 73편의 ‘마음’에 대한 연구.” 신학전망160 (2008.3): 2-24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873567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20. 하경택. “‘세계의 어머니’로서의 시온.” 장신논단 47 (2015): 13-41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39023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