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세오경
← 목차로 돌아가기
- 강지숙. “신명기의 레위인과 에제키엘서의 레위인.” 신학전망 161 (2008): 2-24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1853977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김두석. “창세기 1장 1절과 2, 3절과의 관계 연구.” 칼빈논단 (2002): 133-15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0034864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김덕중. “음식 규례와 거룩.” Canon&Culture 2 (2008): 39-69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77932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김선종. “토라! 율법인가, 이야기인가?.” 신학논단 64 (2011): 7-28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674525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김정봉. “모세의 리더십.” 복음과 실천 60 (2017): 35-56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7299764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노세영. “레위기에 나타난 중요한 제의적 용어의 우리말 번역에 대한 제언: 하타트, 아샴, 트누파, 트루마,” 성경원문연구 36 (2015): 7-29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6295828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박준서. “출애굽과 이스라엘 신앙체험: 출애굽기 연구.”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(1984): 145-15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0042281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배정훈. “창세기 1-9장을 통해서 본 생태 신학.” Canon&Culture 6 (2012): 21-50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401926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성주진. “출애굽 경로 지도에 대한 소고: 홍해횡단 표시를 중심으로,” 신학정론 18 (2000): 281-303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1852823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오택현. “신명기의 저자문제 연구.” 신학과 목회 15 (2001): 45-60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1198804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———. “여호와 삼마라 하리라.” 기독교 사상 49 (2005): 118-125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0581716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왕대일. “레위기에는 레위 제사장이 없다: 레위기 8:1-3의 해석과 아론계 제사장,” 신학과 세계 75 (2012): 6-30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2078698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———. “민수기의 편집과 그 구조.” 신학과 세계 29 (1994): 5-42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1754800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우택주. “포로후기 상황에 비추어 본 민수기의 메시지.” 복음과 실천 56 (2015): 15-42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7315879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유연희. “창세기 3:16의 새로운 해석을 찾아서.” 성경원문연구 (2014): 7-31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270272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유윤종. “출애굽기 1:1-15:21에 나타난 ‘이름’의 문학적 및 신학적 의미.” 성경원문연구 (2017): 7-28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7252253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정숙자. “출애굽 이야기에 나타난 여성폭력 극복 : 본문 : 민수기 12장, 출애굽기 1, 2장, 15:19-21을 중심으로,” 한국여성신학 58 (2004): 64-72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1652715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최종원. “신명기의 ‘사랑과 계약’에 대한 새로운 연구 = A new Study on the ‘Love and Treay’ in Deuteronomy,” 구약논단 20 (2014): 42-7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084088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하경택. “아브라함의 소명과 이스라엘의 사명: 창세기 11장 27절 – 12장 20절에 대한 주석적 연구,” 장신논단 41 (2011): 35-62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1786736 (2018년 4월 15일 검색).
- ———. “요셉이야기 안에서의 ‘야곱의 축복’.” 장신논단 46 (2014): 37-66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407798 (2018년 4월 15일 검색)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