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담 실습
[인터넷 동영상]
[인터넷 사이트 게시물]
[온라인 문서]
- 착한벗 심리상담센터. “상담의 구조화.” cfile216.uf.daum.net/attach/231CC83F5389EFD320C65F (2015년 12월 9일 검색).
[학위논문-RISS에서 찾은]
아동 청소년 상담
- 강경미. “기독교상담과 아동기 정서발달교육.” 복음과 상담,. 6 (2006): 91-11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d43af5c83bb6bd32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 (유료)
- _____. “청소년 가출문제에 대한 기독교상담학적 고찰.” 복음과 상담, 14 (2010): 77-102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52641e9d380577c1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 (유료)
- 김경집, 연문희. “이혼가정 아동을 위한 학교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.” 청소년상담연구. 13. 1호 (2005): 85-96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ecdf5993f53a147e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 (유료)
- 김상인. “선택적 함구증 청소년의 심리적 불안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사례연구.” 복음과 상담, 23 2호 (2015): 69-101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0be1bf7f9d4bfcf04884a65323211ff0 (Riss 로그인 필요) (유료)
- 오윤선. “청소년 분노조절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.” 복음과 상담, 14 (2010): 9-34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d52d24421aa5d721ffe0bdc3ef48d419#redirect (Riss 로그인 필요) (유료)
- 이수희. “부모교육과 기독교상담 관점에서 본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.” 복음과 상담, 23 2호 (2015): 256-290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0be1bf7f9d4bfcf0d18150b21a227875 (Riss 로그인 필요) (유료)
- 이성한. “ADHD 아동의 주의력 집중 행동 상담 사례.” 아동연구, 20 (2011): 86-101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95ccf0ead05912ebffe0bdc3ef48d419#redirect (Riss 로그인 필요)
- 장현아. “학대아동에 대한 상담 모델의 개관.” 청소년상담연구, 16. 2호 (2008): 1-15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78fd21ab2b9b30c0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- 이대식. “학습장애 아동들의 대인관계 기술 부족에 관한 기존 연구 동향과 쟁점 : 학습장애아를 위한 상담활동에 주는 시사점.” 청소년상담연구, 8호 (2000): 122-145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a005784d02c4b636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- 김병석. “초기 아동 기억의 상담에의 활용.” 청소년상담연구, 1. 4호 (1996): 67-82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3248ab6375f236ee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- 이윤주. “재난피해의 심리적 영향과 재난극복을 위한 심리적 조력의 방법 : 아동을 중심으로.” 청소년상담연구, 12. 1호 (2004): 28-40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8ead0a9836d287a5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- 김광수, 양곤성. “용서상담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피해아동의 용서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.” 청소년상담연구, 20. 1호 (2012): 175-192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6baaccf31d67fff0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- 이기범,주해원, 현명호. “아동기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.” 청소년상담연구, 23. 2호 (2015): 21-36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11d1c1988ef35d5bb7998d826d417196 (Riss 로그인 필요)
- 이영해, 정현희. “청소년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양상과 영향요인.” 청소년상담연구, 23. 2호 (2015): 253-276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a54f8700b85bec2ab7998d826d417196 (Riss 로그인 필요)
- 전요섭. “청소년의 포르노그래피 접촉에 대한 기독교상담 방안.” 복음과 상담, 22. 1호 (2014): 221-255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69369061940b9eedc85d2949c297615a (Riss 로그인 필요) (유료)
상담의 병리적 이슈들
- 강위현. “성경을 통한 경계선 성격장애의 치유.”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 신학대학교 대학원, 2003. http://210.102.253.7/image/t0213759.pdf
- 공성숙. “섭식장애 환자의 알코올 문제 관련요인 분석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20, No.2 (2011). 208-218 http://www.jkpmhn.org/Synapse/Data/PDFData/0199JKAPMHN/jkapmhn-20-208.pdf
- . “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증상, 우울, 강박성이 자해행도에 미치는 영향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 39, No.4 (2009). 459-468 http://www.kan.or.kr/kor/shop_sun/files/memoir_img/200904/459.pdf
- . “여성 섭식장애 환자의 다중충동성 관련요인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21, No.2 (2012). 137-148 http://www.jkpmhn.org/Synapse/Data/PDFData/0199JKAPMHN/jkapmhn-20-208.pdf
- 공성숙. 배재현. “심리적 외상경험자의 해리 관련요인에 대한 판별분석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23, No.3 (2014). 125-134 http://jkpmhn.org/Synapse/Data/PDFData/0199JKAPMHN/jkapmhn-23-125.pdf
- 곽경필. “양극성 장애.”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0, no. 4 (2007): 348-356 http://synapse.koreamed.org/Synapse/Data/PDFData/0119JKMA/jkma-50-348.pdf
- 권민, 김대진. “인터넷 중독과 자살.”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, no. 4 (2007): 335-340 http://synapse.koreamed.org/pdf/10.5124/jkma.2012.55.4.335
- 김민경, 이은정, 김희절. “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의 인지기능 결함.”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1, (2012): 70-76 http://jknpa.org/Synapse/Data/PDFData/0055JKNA/jkna-51-70.pdf
- 김성완, 장지은, 김재민, 신일선, 반다해, 최봉실, 정순아, 윤진상. “조현병-정신분열병 병명에 따른 낙인 비교. Journal of Korean Psychiatry Association 51 (2012): 210-217 http://synapse.koreamed.org/Synapse/Data/PDFData/0055JKNA/jkna-51-210.pdf
- 김은영, 이유니. “우울증의 행동활성화 치료에 대한 기독상담적 적용.” 홰불트리니티저널 17, no. 1 (2014):127-148. http://www.ttgst.ac.kr/upload/ttgst_resources13/20149-353.pdf
- 김찬영. “범불안장애 약물치료의 최신 경향.” 대한정신약물학회지. 15, no. 1 (2004): 9-13
- 김찬영, 구민성, 서호석, 신윤식, 김장우, 천근아, 남윤영, 이홍식. “강박장애 환자의 임상양상 및 단기 치료반응.” 대한정신약물학회지. 14, no. 3 (2003): 206-214
- 김홍자, 김인숙, 김도형. “무용/동작치료가 입원중인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신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.” 한국콘텐트학회논문지, 11 no. 4 (2011): 458-467 http://ocean.kisti.re.kr/downfile/volume/kocon/CCTHCV/2011/v11n4/CCTHCV_2011_v11n4_458.pdf
- 민성길, 신동원, 노경성. “뚜렛 장애의 임상적 연구.” Kore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8, (1997): 92-100 https://www.researchgate.net/profile/Sung_Min2/publication/264076506_A_CLINICAL_STUDY_ON_TOURETTE’S_DISORDER/links/5535a44e0cf218056e929e17.pdf
- 박원명, 이경욱. “양극성 우울증의 이해 및 치료전략.” 대한 정신 약물학회지 11, no. 1 (2000): 7-13 file:///C:/Users/june.kim/Downloads/0052000002.pdf
- 박영숙, 권윤희. “집단음악요법이 조현병 환자의 정신증상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.”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e 15, no. 2 (2012): 126-132 http://ocean.kisti.re.kr/downfile/volume/kasrn/HKJHBX/2012/v15n2/HKJHBX_2012_v15n2_126.pdf
- 박용천. “우울증의 비약물한적 치료.”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, no. 4 (2011): 376-380 http://synapse.koreamed.org/Synapse/Data/PDFData/0119JKMA/jkma-54-376.pdf
- 박원명, 이경욱. “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약물치료.”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5, no. 1 (2004): 22-29
- 박주언, 안현의, 정영은. “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예방과 치료: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사회적 개입을 중심으로.”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55, no. 2 (2016): 89-96 http://jknpa.org/Synapse/Data/PDFData/0055JKNA/jkna-55-89.pdf
- 박찬호, 이선이, 김남희. “조현병 환자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무가 치료경과에 미치는 영향.”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51 (2012): 249-254 http://synapse.koreamed.org/Synapse/Data/PDFData/0055JKNA/jkna-51-249.pdf
- 백기청. “인격장애의 약물치료.”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6, no. 3 (2005): 208-224
- 송정민, 채정호. “일차 진료에서의 범불안장애의 진단과 치료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Family Medicine 26 (2005).
- 안동현. “청소년 정신건강장애.”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2, no. 8 (2009): 745-757 https://www.researchgate.net/profile/Donghyun_Ahn/publication/270016852_Mental_Disorders_in_Adolescents/links/560dbed908ae2aa0be4a56e1.pdf
- 이계성, 안정숙, 신정호. “성인 양극성장애와 정신분열병 환자의 아동기 주의력결핍-과다활동 증상.” Kore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9, (1998): 26-33 http://www.koreascience.or.kr/search/articlepdf_ocean.jsp?url=http://ocean.kisti.re.kr/downfile/volume/kacap/HBHHBP/1998/v9n1/HBHHBP_1998_v9n1_26.pdf&admNo=HBHHBP_1998_v9n1_26
- 이문희, 이수림. “애착외상의 이해와 치료적 함의.”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1 no. 2 (2013): 413-448 https://www.kyci.or.kr/fileup/lib_pdf/2013-90-19.pdf
- 이민수. “우울증의 약물치료.” Pharmacotherapeutics. (2003): 69-75
http://synapse.koreamed.org/Synapse/Data/PDFData/1119JKMA/jkma-46-69.pdf
- 이옥자, 최영숙. “만성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체험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e 37, No.1 (2007). 26-34 http://www.kan.or.kr/kor/shop_sun/files/memoir_img/200904/459.pdf
이화영. 함병주. “스트레스와 정신질환.”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, no. 6 (2013): 471-477 http://www.jkma.org/Synapse/Data/PDFData/0119JKMA/jkma-56-471.pdf
- 임명호, 조수철, 백기청, 이경규, 김현우, 홍강의. “입원한 기분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 특.” Kore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1, (2000): 209-220 https://www.researchgate.net/profile/Myung_Ho_Lim/publication/264135580_CLINICAL_CHARACTERISTICS_OF_CHILD_AND_ADOLESCENT_PSYCHIATRIC_INPATIENTS_WITH_MOOD_DISORDER/links/53eb45d50cf2dc24b3ceafdf.pdf
- 우영섭. 박원명. “우울증의 치료.”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0, no. 2 (2006): 239-242 http://ekjm.org/upload/42837841.pdf
- 조영성, 이화영, 권영준, 정희연, 신정이, 심세훈. “양극성장애 부모의 자녀에서 정신질환.”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, no. 5 (2014): 70-76 http://jknpa.org/Synapse/Data/PDFData/0055JKNA/jkna-53-310.pdf
- 채공주. 남은숙. 변도화. “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, 불안, 우울,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22, No.1 (2013). 1-11 http://synapse.koreamed.org/pdf/10.12934/jkpmhn.2013.22.1.1
- 최윤정. “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지속노출치료의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.”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0, no. 1 (2010): 97-116
- 현명선. 박은영. 김영희. 김유라. 조명선. “지역사회에 있는 정신장애인의 희망과 회복: 치료자와의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.”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23, no. 3 (2014). 156-164 http://synapse.koreamed.org/pdf/10.12934/jkpmhn.2014.23.3.15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