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사야서

이사야서

  1. 김이곤. ” 이사야 43.” 기독교사상41 (1997): 60-78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0135250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김정우. ” 이사야서의 성령론.” 신학지남 67 (2000): 117-145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0130029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김회권. “남은 자 사상에서 나타난 이사야의 민족통합 신학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7 (2005): 41-65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288038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박경철. ” 이사야서 최종 형태 구성의 신학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31 (2005): 4-14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83269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배희숙. ” 이사야 56장 1-8절의 재건공동체.” 장신논단 39 (2010): 11-34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786752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송창현. ” 쿰란의 이사야서 사본과 성서 번역.” 성경원문연구 (2007): 30-51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270209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안근조. ” 이사야 2:5-22의 문학비평적 연구.” 신학논단 62 (2010): 131-152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673885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오택현. “이사야 1-12장에 나타난 ‘하나님의 왕권.” 신학과 목회37 (2012): 129-150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872694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———-. “이사야 1-12장에 나타난 정의.” 신학과 목회35 (2011): 5-29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645012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———. “제3이사야에 나타난 ‘미쉬파트’(משפט).” 신학과 목회31 (2009): 101-122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213851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우택주, 정원제. “‘제3이사야서의 배경에서 본 이사야 6장의 내러티브 비평.” 신학논단 65 (2011): 121-145. 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717448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유경재. “고난받는 야훼의 종.” 한국여성신학9 (1992): 39-40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678241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이기락. “이사야서의 편집-구성상의 단일성.”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(1992): 179-202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543628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이영미. ” 위로하라, 위로하라, 내 백성을 위로하라 : 이사야 40-55장에 나타난 예언자의

신학.” 신학연구51 (2007): 11-36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154681 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
  1. 이환진. “[하느님의 반제국주의] 예루살렘 이사야의 스올 신탁과 바빌론 제국의 죽음.” 세계의신학 61, (2003): 10-38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0488309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이희성. “이사야 40-66장에 나타난 종과 종들.” 성서학 학술세미나 (2008): 1-13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84540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장세훈. “공시적 관점에서 본 이사야서의 토라 이해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5 (2003): 1-16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406265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장세훈. ” 이사야서의 중심 신학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16 (2001): 82-89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96224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최만수. ” 이사야서의 저자에 대한 이해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18 (2002): 84-94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407872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
  1. 황선우. ” 이사야 52:13-53:12의 종의 정체.” 신학지남 (2012): 70-84. 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050325  (2018년 4월 24일 검색)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