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ategory: 신학

교회사

교회사

강경림. :16세기 재세례파 운동의 형성배경과 그 기원에 관한 연구.” 논문집 Vol. 11 (1991): 509-531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90d6d367102279e6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김명수. “북구 기독교 르네상스와 이태리 르네상스의 차이점.” 국제신학 Vol. 15 (2013): 111-147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2b6d5965ee8c5261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김하태. “신정통파신학에 대한 소론.” 신학논단 Vol. 3 (1957): 7-15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a7d93b802ba487ff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김홍기. “어거스틴 은총론이 종교개혁 신학에 미친 영향.” 신학과 세계 Vol. 34 (1997): 54-124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28dceccb7265d435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박명수. “초대교회 역사 연구의 방법론적 시도: 성인전과 영성에 대한 논찬.” 역사와 해석학 Vol. 4 No. 1 (2000): 216-225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f37c73a0a7c27c2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신성종. “초대교회의 선교와 성장, 박해시대의 선교와 교회의 발전.”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No. 6 (1986): 423-430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84b707f5afe4b2ecffe0bdc3ef48d419#redirect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유지황. “신학적 철학인가 철학적 신학인가?: 토마스 아퀴나스 신앙과 이성 관계 이해를 중심으로.” 한국교회사학회지 vol. 18 (2006): 127-160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16e0cf05e5acadfe4884a65323211ff0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이용원. “중세의 교회갱신과 선교.” 선교와 신학 Vol. 3 (1999): 55-74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68cfd7a9cacd865a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이종성. “현대 신학의 동향.” 신학논단 Vol. 5 (1959): 65-85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c9a7bddd8cb75ec5#redirect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이후정. “세계 교회사 속의 이단 문제.”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No. 12 (1992): 75-85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008b9d5641196bc8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임원택. “영성은 껍데기와 본질의 구별에서 시작한다: 캘빈의 경건의식을 중심으로.” 목회와 신학 No. 177 (2004): 98-105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aaa2c727b25e4e1e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조찬래. “중세 시기 교황절대주의 관념에 관한 연구.” 사회과학연구 Vol. 26 No. 3 (2015): 445-464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bc14db6d463e25d26aae8a972f9116fb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주도홍. “마틴 루터의 생애와 사상.” 진리논단 No. 1 (1997): 125-144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ea3cb7bec0e52f13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주승민. “어거스틴의 교회 이해.” 교수논총 Vol. 15 (2004): 299-320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e98e10a05db4cc57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최윤배. “복음주의 신학(Evangelical Theology)이란 무엇인가?” 신학지평 Vol. 10 (1999): 145-162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727852e4fc7b2e7f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최종원. “위클리프와 옥스퍼드의 롤라드파: 그 지적 정체성 1377-1415.” 한국교회사학회 Vol. 22 (2008): 1-19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92f5549efaf916f0ffe0bdc3ef48d419 (RISS 로그인 필요)

 

Torrance, Thomas F. “칼 바르트.” 신학논단 Vol. 4 (1958): 163-176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6a329a30f54d4c51#redirect (RISS 로그인 필요)

신앙과 이성

신앙과 이성

강원돈. “과학주의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비판.” 기독교사회윤리 Vol. 29 (2014): 107-140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4541cb7c2b911d6d4884a65323211ff0

 

강학순. “신앙과 이성 – 기독교 철학적 관점.” 신학지평 Vol. 12 (2000): 133-148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ef24cff8d17338d1ffe0bdc3ef48d419

 

김성우. “로크의 계몽적 이성주의의 종교적 콘텍스트에 대한 고찰.” 시대와 철학 Vol. 13 No. 2 (2002): 263-292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4185f9267337de69ffe0bdc3ef48d419

 

김성욱. “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선교변증학적 연구.” 총신대논총 Vol. 245 (2004): 302-332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f39f0761382f70b7ffe0bdc3ef48d419

 

김승욱. “신앙의 합리적 자기이해의 두 가지 모델: 안셀무스와 토마스.” 누리와 말씀 No. 23 (2008): 253-274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8a484eec669ff8adffe0bdc3ef48d419

 

김영한. “포스트모던 기독교 세계관.” 기독교철학 Vol. 7 No.1 (2008): 59-87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ba8d3821aeaafe5dffe0bdc3ef48d419

 

김응래. “신(神) 사유 가능성과 인식 불가능성 사이의 신앙 가능성: 칸트의 ‘순수이성비판’을 중심으로.” 누리와 말씀 No. 36 (2014): 313-349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35af9e3d9bb7bfe9b7998d826d417196

 

박삼열. “서양 근대 과학과 기독교의 대립과 갈등에서 철학의 역할.” 철학탐구 Vol 19 (2006): 181-210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cfa5e7f0d7404ea9ffe0bdc3ef48d419

 

박인성. “신앙과 이성: 중세기를 중심으로 하여.” 복음과 학문 No. 3 (1996): 225-240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ca972fe76dae1f41ffe0bdc3ef48d419

 

신상형. “우주론적 신존재 증명의 현대적 의미.” 철학연구 Vol. 88 (2003): 173-193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53e71090e75695cdffe0bdc3ef48d419

 

유지황. “신학적 철학인가 철학적 신학인가?: 토마스 아퀴나스 신앙과 이성 관계 이해를 중심으로.” 한국교회사학회지 Vol. 18 (2006): 127-160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16e0cf05e5acadfe4884a65323211ff0

 

윤종한. “칸트의 이성 신앙과 그 역사적 실현에 관한 연구.” 광신논단 Vol. 8 No. 1 (1997): 99-116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66df580383d62eac

 

이경직. “헬라 문화와 기독교: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기독교 변증.” 진리논단 No. 9 (2004): 79-99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90a95ada970cdd18ffe0bdc3ef48d419

 

이재영. “로크의 종교 철학 – 이성과 신앙의 조화 시작되었다고.” 기독교철학 Vol. 18 (2014): 9-55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f13ee1fe59e8cc0affe0bdc3ef48d419

 

이정규. “사회주의와 그리스도교의 만남: 한국 민중신학을 중심으로.” 신학과 현장 Vol. 6 (1996): 148-165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cdfd8fd33a5a7112ffe0bdc3ef48d419

 

이현모. “복음주의 선교신학의 변화와 포스트모더니즘.” 선교와 신학 Vol. 12 (2003): 57-86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d8522d221fa3b1a4ffe0bdc3ef48d419#redirect

 

임승필. “이성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하만과 칸트의 견해: 흄의 딜레마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.” 철학 Vol. 118 (2014): 59-86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40154eaa84b83bdeffe0bdc3ef48d419

 

전호진. “종교 갈등과 핍박의 시대: 기독교 선교에서 변증으로.” 기독교 사상연구 No. 6 (2000): 35-54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fae9cfbd78a778b1

 

최태연. “C. Van Til 기독교 변증학의 의미.” 기념논문집 Vol. 25 (2001): 391-402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dec38b6cf6c135c8ffe0bdc3ef48d419

 

한인철. “뉴우튼의 물리학과 기독교 이신론.” 복음과 학문 No. 2 (1994): 51-78.

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1a0202e37d52c72d&control_no=50093d850ab27cd8ffe0bdc3ef48d419

복음서

복음서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 

  • 신약 성경 어떻게 읽을 것인가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26ba bc7e0a811190ffe0bdc3ef48d419
  • 신약성경신학이란 무엇인가? : 비평학의 흥륭과 신학성경신학의 문제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67aee 19aee2230fe
  • 성경난제 해설 : 신약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5913 0fc5e25d3a72ffe0bdc3ef48d419
  • 복음서와 사도행전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69fd5 250fa764e6dffe0bdc3ef48d419
  • (복음서의) 예수 그리스도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2df68 12448898763ffe0bdc3ef48d419
  • 역사적 예수와 Q복음서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1b4ee 1bf4c0a79a3ffe0bdc3ef48d419
  • 복음서와 시간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f8bc8 7229827c29a
  • 복음서의 역사적 신빙성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8137a 2934061c60bffe0bdc3ef48d419
  • 요한복음서 연구 : 그 독자성을 중심으로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c146e e20df9f1c2d
  • 복음서와 예수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1d886 9e5d740e4f1
  • 복음서가 말하는 공동체상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934c0 63b80308a7a
  • (복음서에 나타난)예수의 생애 : 사복음서 비교연구 = Vie de Jesus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49d74 ddb56c53c59
  • 누가 예수를 부인하는가? : 역사적 예수에 대한 잘못된 탐구와 복음서 전승의 진리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cfaca 169e6b5b35f
  • 지상의 그리스도 : 역사로서의 복음서 이야기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f512f cdde2f7a59cffe0bdc3ef48d419 15. 예수에게서 복음서까지 : 복음서의 형성과정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16f7c e1cfa52fd96
  • 공관복음서의 주제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dc63c 7b4376fbad4
  • (주요 주제를 통해 본) 복음서들의 신학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4ab48 150f26e5eb0ffe0bdc3ef48d419
  • 복음서 읽기 : 복음서의 내러티브와 신학적 개론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25ec0 dd025163addffe0bdc3ef48d419
  • 요한복음서 재발견 : 부활의 신학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5187d bbe3e4b7d9effe0bdc3ef48d419
  • 예수와 기독교의 기원 : 역사적 예수, 복음서의 예수 그리고 하나님 나라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d7345961987b50bf&control_no=35256 4d83562113dffe0bdc3ef48d419

마태복음서

  1. 권성택, “마태복음서에 나타난 제자상(像) 연구 = (The) Analysis of Discipleship Appearing in the Gospel of Matthew” 석사학위논문,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, 2002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d28d83ca4c4c3abf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2. 이해용, “마태복음의 ‘하나님 아들’ 칭호 연구” 석사학위 논문,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, 200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2230c55f838df918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3. 이근형, “마태복음의 족보(1:1-17)의 의미와 마태의 의도” 석사학위논문,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, 2003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4f913741af9ec670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
 

마가복음서

  1. 윤종희, “마가에 나타난 제자직에 관한 연구 : 마가복음 13 5-37절을 중심으로” 석사학위논문, 감리교신학대학교, 200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6406d60b7793d2df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2. 박기연, “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의 인자 칭호 연구 = A Study on the Title “Son of Man” in the Gospel of Mark” 석사학위논문, 호서대학교, 200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e3a9242209d44aa9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3. 조재성, “마가복음에 언급된 ‘하나님의 아들’ 칭호에 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Title of ‘The Son of God’ mentioned in the Gospel of Mark” 석사학위논문, 호서대학교, 200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22620599f499efb9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
 

누가복음서

  1. 최현두, “누가복음에 나타난 에이레네(eivrh,nh)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2015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f9dff858e55d2aa6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2. 김수연, “누가복음의 인식 모티프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2015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354e4eeb51660f83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3. 윤인재, “누가복음서의 삭개오와 잃어버린 모티프 연구 = A Study on the Motif of ‘the Lost’ and Zacchaeus in the Gospel of Luke” 사학위논문, 호서대학교, 2011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8bdb95bc75fb0d40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
 

요한복음서

  1. 박경미, “요한복음서의 아이러니 연구” 박사학위논문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1995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69892c12608bb36f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2. 최봉용, “요한복음서의 그리스도론” 박사학위논문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1995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69892c12608bb36f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3. 윤정현, “요한복음서 9장에 나타난 요한공동체의 상황” 석사학위논문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1990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132b53cc95aefad7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4. 고근석, “요한복음서에 따른 ‘영광'(δόξα)에 관한 성서 신학적 고찰 = (A) Biblical-Theological Study on ‘Glory’ Based o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” 석사학위논문,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2006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42ef95dc9c792d42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
 

공관복음서

  1. 이춘기, “共觀福音書 問題 理論 考察 = (A) Study on Hypotheses of the Synoptic Problem” 석사학위논문,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, 2004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5cbc7fa0f63d5bd4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2. 한기석, “共觀福音書에 나타난 比喩構造硏究 = (A) Study on Structure of Parable in the Synoptic Gospels” 석사학위논문,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, 199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8dd709412b4b2ee0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3. 조대연, “공관복음의 풍랑제어사건 비교연구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mpest Control Incident in the Synoptic Gospels” 석사학위논문,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, 2008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4af3674d48a979fc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
 

Q

  1. 여동훈, “Q복음서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비유 연구” 석사학위논문,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, 200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db45213e5537d2aa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2. 나현수, “마태복음과 야고보서에서의 예수말씀(Q) 반영 : 예수말씀 복음서(Q) 전승궤도를 중심으로”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2004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fd1c48c4eb998b93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3. 이세훈, “Q 공동체 구성원들의 정체성 : 선교 파송 본문(Q 10:2-16) 중심으로”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2004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3ce83e667eb81712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
 

사복음서

  1. 조승현, “복음서들에 나타난 세례 요한과 요세푸스의 작품들에 나타난 세례 요한에 대한 비교연구” 석사학위논문,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, 2004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67a510addd6825b5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2. 양종석, “유다 이스카리옷 관련 이야기의 신학적 의도 연구 : 복음서를 중심으로” 석사학위논문, 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2014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2b358da8cc1ed4cd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  3. 한춘자, “복음서에 나타난 유대교와 예수그리스도와의 관계” 석사학위논문, 호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1999. http://www.riss.kr/search/detail/DetailView.do?p_mat_type=be54d9b8bc7cdb09&control_no=393027024695384affe0bdc3ef48d419 (2015년 10월 26일 검색).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소그룹과 제자훈련

소그룹과 제자훈련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 

  • 이재현. “소그룹을 통한 제자훈련 활성화.” 석사학위논문.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, 200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0855592 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윤성구. “지역교회 청년부 소그룹 활성화를 위한 제자훈련 방안.” = “A Study on Discipleship Training to Promote Local Church Youth Small Groups.” 박사학위논문.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, 200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707467 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정임선. “성공적인 제자훈련을 위한 리더십과 소그룹사역.” 석사학위논문.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, 201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2120109 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전완. “청소년 소그룹 제자훈련에 대한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.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, 201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988675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오송자. “개별적인 성경 공부를 통한 제자훈련.” 석사학위논문. 기독신학대학원 대학교, 200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035615 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김길진. “소그룹 중심으로 본 존 웨슬리의 목회 연구.” = “A study on John Wesley’s ministry focusing on small group.” 박사학위논문.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, 201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2173612 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장인석. “소그룹 공동체 사역을 통한 치유목회.” = “A Study on the Healing Ministry through Small Group.” 석사학위논문.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, 2010. 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2114822 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리경규. “제자훈련의 원리와 성경적 교육방법론 : 예수중심.” 석사학위논문. 대신대학신학연구원, 199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0082084 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송길용. “소그룹 사역을 통한 중국선교전략 : 가정교회를 중심으로.” 석사학위논문. 천안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, 2002. 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037215  (2016년 10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이창진. “소그룹 활동을 통한 교회의 활성화 방안.” 박사학위논문.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, 2010. 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930019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노명환. “재생산을 위한 소그룹 강화에 대한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.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, 2010. 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930065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이상순. “제자훈련에 관한 소고.” 석사학위논문. 대한신학교, 198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0105074  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박재진. “존 웨슬리의 소그룹 사역을 통한 새가족 정착 시스템에 관한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, 201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726021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마정흔. “교회성장 방안으로서 소그룹 운동에 관한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.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2013. 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178053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서영우. “소그룹을 통한 공동체 영성 회복을 위한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.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201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815259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김귀순. “평신도 제자훈련과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.” 석사학윈논문. 천안대학교 기독신학대학원, 200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037225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홍현희. “구역제도의 성경적 배경과 제자훈련을 통한 교회 부흥원리.” 석사학위논문.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, 200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0083542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김지화. “포스트모던 시대의 제자훈련 방향.” 석사학위논문.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200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583240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정만조. “예수님과 사도바울의 제자훈련 원리에 관한 비교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.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, 2008. 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312003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  • 장진명. “마태복음에 나타난 예수님의 제자훈련과 이를 통한 현대목회로의 적용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.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2012. 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815203  (2016년 10월 28일 검색) (RISS 로그인 필요).

 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목회신학

목회신학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 

학위논문

  • 고지수. “김재준의 기독교적 사회참여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U14017302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권순달. “한국교회 신자의 전인성장을 위한 코칭의 목회적 적용.” 박사학위논문,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950253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권영삼. “한국교회 장례문화와 장례설교에 대한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4001872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김경미. “내현적 자기애성 성향을 가진 중년기 크리스천 여성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, 2016.  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4001770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김경희. “기독대학생의 인터넷중독과 신앙성숙도에 관한 통합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966741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김성은. “韓國敎會 牧會者들의 죽음에 대한 認識 硏究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U14001868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김진규. “영적성장을 위한 기독교 영성목회의 방향성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4001818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문상욱. “교회의 통전적 본질 회복을 위한 제자훈련 새 모델 개발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호서대학교 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U13952077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박단열. “리차드 백스터의 청교도 생활관과 초기 한국교회의 생활관 비교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4001781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박종대. “성경적 예배자 연구를 통한 예배 활성화 방안.” 박사학위논문,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944482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사호행. “한국 교회내의 갈등 원인 분석과 그 갈등 극복을 위한 방안.” 박사학위논문,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,  2016.  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4001866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신은경. “헨리 나웬 사상의 기독교교육적 함의.” 박사학위논문, 고신대학교 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U13966740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윤경애. “방과후교회학교에 적용 가능한 뇌기반성경학습법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고신대학교 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958279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이기룡. “교회학교 교사교육 비교분석 및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발.” 박사학위논문,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966736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이벽호. “해돈 로빈슨의 빅 아이디어 중심의 강해설교를 극복하는 설교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4001879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전은경. “중독에 대한 현대정신분석학적 적용: 목회상담학 관점에서.” 박사학위논문,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994011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주지영. “성경공부 교재의 유형별 분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U14001800 (2016년3월29일 검색).
  • 홍두윤. “카리스마리더십이 영성에 따른 교회성장에 미치는 영향연구.” 박사학위논문,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, 2016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4001930 (2016년3월29일 검색).

 

학술지

목 차

목 차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*  DBpia 로그인 및 패스워드 정보는 무들 상에 있는 “원격자료” 에서 확인하시거나 월드미션대학교 도서관으로 문의하세요. (213-385-2322 ext. 130 / library@wmu.edu)

* RISS 관련 정보는 “RISS 사용법   http://elibrary.wmu.edu/riss/”을 확인하세요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사서 추천

사서 추천

  1. 성결신학연구소. http://sgti.kehc.org/ (20015년 8월 14일 검색).
  2.  Johnson, Phillip R. “The Spurgeon Archive.” http://www.spurgeon.org/mainpage.htm (20015년 8월 14일 검색).
  3. Johnson, Phillip R. “The Hall of Church History.” http://www.spurgeon.org/~phil/hall.htm (20015년 8월 14일 검색).
  4. 인터넷선교학회. http://www.swim.org/  (20015년 8월 14일 검색). 다국어 QT자료 보기 및 선교지의 다양한 소식과 정보.
  5. 한국창조과학회. http://www.kacr.or.kr/  (20015년 8월 14일 검색).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조직신학

조직신학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  1. 신학방법론
  • 손효정. ‘길 위의 하나님’ 펴낸 장신대 조직신학과 김도훈 교수 “신학은 그리스도  삶이자 우리의 삶 이야기”.” 엠파워뉴스 (2014년 4월 8일). http://www.mpower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777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윤철호. 통전적 신학 방법론: 춘계 이종성의 신학방법론을 중심으로 = A Holistic Theological Methodology: With Reference to the Theological Methodology of Rhee Jong-Sung.” 장신논단 47, no. 1 (2015년 3월): 125-149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3661905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정성민. 조직신학 최근 동향 – 인간에 대한 절망과 하나님으로 인한 소망.” 활천(2003년 10월). http://sgti.kehc.org/theology/12.htm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주만성. 하나님의 초월성과 내재성에 관한 소고 – 슐라이에르마허의 신학 방법론을 중심으로.” 대학과 복음 5 (2001년 10월): 190-223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411768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최현만. 톰 라이트 (Tom Wright)의 신학 방법론: 그는 어떻게 신학을 하는가?” (2014년 6월 26일). http://www.slideshare.net/handasam/ss-36931703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허호익. 폴 틸리히의 신학 방법론” 발췌. 한국컴퓨터선교회 기독정보검색 (2007년 8월 15일). http://kcm.kr/dic_view.php?nid=38528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1. 하나님의 계시
  • 유장환. 폴 틸리히 계시론.” 조직신학 명저 읽기 (2014년 4월 2일) http://www.kocw.net/home/common/contents3/document/lec/2013/Mokwon/Yujanghwan/7.pdf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호프마이어.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: 일반계시의 한계.” 목회와 신학181 (2004): 192-197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90214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장경철. 우주 가운데 담긴 하나님의 흔적.” 인문논총 27 (2013): 224-23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919649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김재진. “한 분 하나님(Ε??s <μο’ονs> Θεο’s)의 자기계시속에 있는 舊約과 新約의 連續性 = The Continuit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in the Revelation of one God.” 신학논단 21 (1993): 357-39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3430284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김근수. 한국교회와 성경 영감과 무오 = Biblical Inspiration and Infallibility of Korean Church.” 칼빈논총 2004 (2004): 25-57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5009889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한병수. 한병수 전도사의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 – 성경의 영감성.” 부흥과개혁사 RnR 열린광장 (2012년 1월 10일). http://www.rnrbook.com/board/board.php?pagetype=view&num=4783&board=ByungSooHan_01&block=0&gotopage=1&search=&s_check=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한병수. 한병수 전도사의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 – 신학의 원리 6: 성경의 속성들 2.” 부흥과개혁사 RnR 열린광장 (2011년 12월 7일). http://www.rnrbook.com/board/board.php?pagetype=view&num=4749&board=ByungSooHan_01&block=0&gotopage=1&search=&s_check=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전성용. 성서란 무엇인가.”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논총 16 (2004): 433-457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5009889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김지찬. 웨스트민스터 신조, 한국장로교회, 그리고 성경관 = The Westminster confession, Korean Presbyterian Churches, and their Views of the Scripture.” 장로교회와 신학 4 (2007): 9-4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5256358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목창균. 복음주의와 성경.” 성결신학연구소 (?). http://sgti.kehc.org/data/person/mok/evangelical-theology/2.htm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김재진. 성경의 권위와 자유: 제3장 성경의 권위와 자유 (KD 1/2, 505-830).” 목회와 신학 178 (2004): 210-21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90124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임영효. 문화적 상황에서의 하나님 말씀의 해석과 적용 =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Word of God in Cultural Context.” 기독교 사상연구 6 (2000): 213-13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56460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이환봉. 성경권위의 해석학적 붕괴: 칼 발트와 루돌프 불트만을 중심으로 = The hermeneutical erosion of bibical authority.” 고신대학교 논문집 21 (1994): 5-2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70258 (2015년 7월 27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존 맥아더. 존 맥아더 2015년 쉐퍼드 컨퍼런스 – 성경의 무오성과 예언적 말씀.” https://youtu.be/uJ0qEUoLtiI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1. 하나님의 본성
  • 이양호 (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회사학 교수). 루터의 신론.” 신학논총 (?): 233-252. http://yonshin.yonsei.ac.kr/data/4555010110.pdf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김명용 (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). 김명용의 조직신학.” (2010년 6월 30일). http://hopeinx.tistory.com/32 (2015년 7월 27일 검색).
  • 황덕형. 악을 극복하는 선하신 하나님: 타자적 삼위일체론의 한 가능성 = The good God who is overcoming the Evil: One Way of Understanding of the trinitarian God based on the Otherness.” 영산신학저널 3, no. 2 (2006): 104-13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2359398 (2015년 7월 28일 검색).
  • 김동건 (영남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). “[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-3. 기독교의 하나님:삼위일체] ④ 삼위일체의 하나님.”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(2013년3월 28일) http://m.missionlife.co.kr/view.asp?arcid=0007031206&code=23111618 (2015년 7월 28일 검색).
  • 신문철. 삼위일체론의 중요성과 형성과정.” 성령과신학 18 (2002): 203-23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9598570 (2015년 7월 28일 검색).
  • 서창원. 三位一體의 현대신학적 해석 = A Third World Theological Interpretation on Trinity.” 신학과세계 27 (1993): 177-19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468881 (2015년 7월 28일 검색).
  1. 하나님의 사역
  • 허정윤. 조나단 에드워즈의 <하나님의 천지창조 목적>과 “하나님의 영광” = The End For Which God Created the World by Jonathan Edwards and the Glory of God.” 창조론 오픈포럼 5, no. 2 (2011): 1-2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138949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허정윤. 하나님 신(神)과 창조의 새로운 이해 = New Understanding of God the Creator and Creationism.” 창조론 오픈포럼 4, no. 1 (2010): 13-2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138939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최용준. 창조의 세계관적 의미 = The Significance of Creation from the Worldview Perspective.” 창조론 오픈포럼 2, no. 1 (2008): 29-37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117895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윤형. 하나님의 창조사역에 대한 재고찰: 창세기 1장 1절-2장 4절을 중심으로 = Re-Thought to the Creative Action of God.” 구약논단 19, no. 4 (2013): 117-14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933970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박춘화. 하나님의 섭리와 요셉의 신앙.”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19 (1999년): 7-1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0038721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이양호. 칼빈의 섭리론 = Calvin's Doctrine of Providence.” 현대와 신학 22 (1997): 173-18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9560524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이희성. 욥기에 나타난 하나님과 악의 상관성 연구.” 교회와 문화 21 (2008): 183-20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5246566 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주재용. 악과 선의 하나님: 어거스틴을 중심으로 = Evil and the God of Good in st. Augustine.” 신학연구 39 (1998): 147-16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5810763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박일민. 아우구스티누스의 「자유의지론(De Libero Arbitrio)」에 대한 분석적 고찰.” 칼빈논총 28 (2008): 251-27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6518465 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1. 인간론
  • 이은선. 칼빈의 하나님의 형상 이해: 신 인식과 인간 인식을 중심으로.” 한국개혁신학 33 (2012): 41-71. http://www.kirs.kr/data/calvin/calvin_j02.pdf (2015년 7월 28일 검색).
  • 이양호. 칼빈의 인간론 = Calvin’s Doctrine of Man.” 신학논단 25 (1997): 121-14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3430664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한동구. 구약성서의 인간론 = Antropology in the old Testament.” 평택대학교 논문집 10, no. 1 (1998): 13-2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81573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김춘기. 창조질서 회복을 위한 인간론:  한국종교와 요한복음을 중심하여.” 신학과 목회 6 (1992): 1-2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7038738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배재욱. 성경이 선언하는 인간 생명의 고귀함.” 목회와 신학 190 (2005): 61-67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90537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배재욱. 신약성경의 생명 사상에 대한 고찰 = Study of New Testamant Concept of Life.” 선교와신학 22 (2008): 45-8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092795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김은혜. 기독교 인간주의에 대한 성찰: 새로운 문화현상에 대한 신학적 응답 = Christian Humanism as a response to a new cultural phenomenon.” 선교와 신학 33 (2014): 211-24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011387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1. 죄론
  • 박상봉. 헤르만 바빙크의 ‘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죄’에 대한 이해.” 교회와 문화 31 (2013): 51-8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768460 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정연호. 구약성경과 유대교의 속죄와 ‘쩨다카’ = Atonement and ‘Tsedakah’ in the Old Testament and Judaism.” 구약논단 16, no. 1 (2010): 161-18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1686859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임영효.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지속적이고 의도적인 죄에 대한 고찰: 히브리서 10:26~31을 중심으로 = The warning, effects, and results of persistent and deliberate sin against the triune God as set forth in Heb. 10:26-31.” 고신신학 3 (2002): 199-21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251439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
7. 기독론

  •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. “42. 그리스도의 위격의 통일성.” 고신대학교 개혁주의 학술원 도서연재 – 무엇을 믿고 어떻게 살 것인가. 2011년 7월 6일 게시. http://www.kirs.kr/?document_srl=21103 (2016년 10월 12일 검색).
  • 김광식. “웨슬리의 기독론 = Christology of John Wesley.” 신학논단 22 (1994): 115-13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2578105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김승일. “칼빈의 기독교 강요 – 제14장 그리스도의 위격(位格).” KCN NEWS, ㈜한국크리스천신문, 2013년 6월 20일, KCN칼럼-신학 학술. http://www.kcnnews.net/bbs/board.php?bo_table=theology&wr_id=314 (2016년 10월 12일 검색).
  • 문석호. “기독론에 있어서의 신성(divinity)와 인성(humanity)에 대한 바르트(K. Barth)의 이해.” 총신대학교 논문집 8 (1989): 5-2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9624151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장경철. “교육교회 통권 230호: 특집/ 성탄절을 기다리는 교회교육; 성육신의 신학적 의미.” 교육교회 230 (1995): 7-13. http://kiss.kstudy.com/journal/thesis_name.asp?tname=kiss2002&key=1573954# (2016년 10월 12일 검색).
  • 조봉근. “비 비 워필드와 루이스 버코프의 기독론에 관한 비교 평가.” 광신논단 17 (2008): 179-21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2696758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  • 현경식. “요한복음 8장에 나타난 기독론적 신론 = The Christoloical Theism in John 8.” 신학논단 21, no. 4 (2014): 955-99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482290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황대우. “바르트의 기독론 = Karl Barth’s Christology.” 기독교 사상연구 4 (1997): 105-12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56485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
8. 그리스도의 사역

Theissen, Gerd. “속죄와 거리낌으로서의 십자가: 바울에게 있어서 예수 죽음에 대한 두 가지 해석.” 노태성 옮김. 신약논단 12, no. 2 (2005): 309-33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441333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권문상. “속죄를 위한 성육신의 필연성: 안셀름의 Cur Deus Homo?를 중심으로 = Necessity of Incarnation for Atonement : With Special Reference to Cur Deus Homo? By Anselm.” 개혁 신학 16 (2004): 51-8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35497387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김기수. “예수님의 치유목회”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5 (2001): 171-19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30006071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김재덕. “속죄의 범위에 관한 칼빈의 견해.” 종교다원주의운동과 개혁신앙 (2013년 10월 25일): 225-248. http://www.kirs.kr/data/theology/theology_0182.pdf (2015년 7월 28일 검색).
김재성. “예수의 기적에 나타난 기적과 신앙의 관계들 = Relations between Miracle and Faith involved in the Miracles of Jesus.” 신학연구 54 (2009): 101-13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2254733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김진홍. “[김진홍의 아침묵상] 예수의 3대 사역.” 크리스천투데이, 2014년 3월 29일, 오피니언/칼럼. http://www.christiantoday.co.kr/view.htm?id=271142 (2016년 10월 12일 검색).
박영진. “요한복음에서 그리스도와 선지자의 관계 = Die Beziehung zwischen dem Christus und dem Propheten im Johannesevangelium.” Canon & Culture 5, no. 2 (2011): 251-27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971730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양현혜. “우치무라 간조의 속죄론 연구 = The Redemption Theory of Uzimura Kanzo.” 신학논단 79 (2015): 283-31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492095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이만열. “속죄(贖罪)를 역사와 현대에 묻는다.” 한국기독교와 역사 6 (1997): 264-28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6155876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이승구. “성격적, 개혁파적 그리스도의 사역 이해를 지향하며 : Letham, Robert. The Work of Christ. Leicester: IMP, 1993. = Book Review of Robert Letham’s The Work of Christ (Leicester : IVP, 1994).” 국제신학 1 (1999): 265-57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5170493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
9. 성령론

고재수. “성령의 증거 = The Witness of the Holy Spirit.” 고신대학교 논문집 14 (1986): 251-27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70109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김균진. “성령의 활동.”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4 (1984): 248-25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0042312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박대남. “존 오웬의 성령론 연구 = (A)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John Owen.” 박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, 200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0758010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박성우. “D. M. Lloyd-Jones의 성령론 이해 : 오순절 성령강림과 성령세례를 중심으로.” 석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, 200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515415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배명원. “성령의 인격성과 신성에 관한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, 200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515328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유장환. “칼 바르트의 ‘복음주의 신학’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: 신학의 자리를 중심으로.” 신학과 현장(Theology and context) 22 (2012): 177-21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309028 (2016년 10월 12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이기성. “영산의 새로운 기독교 영성 패러다임: 성령과의 인격적 교제 = Young San’s Paradigm of Christian Spirituality: Personal Relationship with Holy Spirit.” 성령과 신학 22 (2006): 140-16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2346693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최문홍. “공관복음서에 나타난 성령이해: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중심으로.” 순복음신학대학교 논문집 1 (1990): 135-149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9601584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
10. 구원론

김기련. “칼빈과 웨슬리의 구원론 비교.” 신학과 현장 17 (2007): 95-12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2710470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김영재. “하나님의 예정과 우리 인간의 인식 = God’s predestination and human understanding.” 신학정론 16, no. 1 (1998): 87-11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156281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김종희. “깔뱅의 예정론과 선교 = Calvin’s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Mission.” 선교와 신학 24 (2009): 13-4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6525403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김희성. “신약성서의 십자가 이해.”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논총 16 (2004): 53-8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345622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안경승. “존 웨슬리의 설교에 나타난 사역의 강조점.” 신학과 선교 6 (2002): 314-33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0027935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장호광. “칼빈의 이중예정론, 그 실천적 의미에 대하여 = Ueber die praktische Bedeutung der Praedestinationslehre Calvins.” 신학지평 25 (2012): 143-16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597022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조석민. “하나님과 예수의 구원 계획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41 (2008): 65-8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808851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
11. 교회론

문효식. “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 나타난 소그룹공동체 연구.” 국제신학 8 (2006): 63-11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75170474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신성종. “바울의 목회 신학.”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8 (1988): 261-26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40046993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이귀선. “사도 바울의 교회관 I: HIs Idea σωμα Χριστου “그리스도의 몸” 사상을 중심으로 = St. Paul’s Ecclesiology(I).” 서울여자대학 논문집 14 (1985): 287-30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67413 (2015년 7월 31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이귀선. “사도 바울의 교회관 II: The Unity of the Church 교회의 단일성 = St.Paul’s Ecclesiology II.” 서울여자대학 논문집 15 (1986): 151-17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67466 (2015년 7월 31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이귀선. “사도 바울의 교회관 Ⅲ: 교회의 신성성 The Holiness of The Church = St.Paul’s Ecclesiology Ⅲ.” 서울여자대학 논문집 17 (1988): 3-17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67506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임영효. “교회성장의 성경적 원리: 엡 4:11-16을 중심으로 = Biblical Principles of Church Growth: based on Ephesians 4:11-16.” 고신신학 13 (2011): 9-6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267073 (2015년 7월 28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한국조직신학회. 한국조직신학논총 38 (2014년 6월). http://ksst.kr/journal/Journal_38.pdf (2016년 10월 12일 검색).

12. 종말론

기수환. “죽음, 부활,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완성: 판넨베르크의 종말론 연구 = Death, Resurrection and The Consummation of Kingdom of God.”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, 201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2847419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김균진. “천년왕국설의 역사적 발전과 종말론적 의미 =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Eschatological Meaning of Millenarism.” 신학논단 26 (1999): 97-13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3430697 (2015년 7월 31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김정진. “데살로니가 전서에 나타난 바울의 종말론: 데살로니가전서 4:13-5:11 중심으로.” 석사학위논문, 협성대학교, 201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433758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신복윤. “再臨 前에 있을 大事件들 = Great Events Preceding the Second Coming of Christ.” 신학정론 11, no. 1 (1993): 226-24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081660 (2015년 7월 31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신복윤. “칼빈의 종말사상 1.” 신학정론 21, no. 1 (2003): 93-13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156370 (2015년 7월 31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신복윤. “칼빈의 종말사상 2.” 신학정론 22, no. 1 (2004): 93-11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114254 (2015년 7월 31일 검색). (DBPIA 로그인 필요)
이기철. “그리스도의 재림과 종말신앙에 대한 연구.” 복음과 학문 1 (1993): 57-10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9599533 (2015년 7월 31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한정건. “천년왕국설에 대한 재고찰 = A Review of the Millennial Kingdom.” 고신대학교 논문집 20 (1993): 149-17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2070235 (2015년 7월 30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설교학

설교학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1. 설교자 이해

  • 정성구 (한국칼빈주의연구원장, 총신대명예교수).카이퍼의 설교자 이해 – 말씀을 섬기는 종.”
    브니엘 (2015년 7월 7일). 
    http://blog.daum.net/mi5602/10443 (2015년 7월 22일 검색).
  • 조진모.부흥의 주체와 설교자의 역할 이해 – 이언 머레이를 중심으로 =The subject of Revival and the Role of the Preacher – centering on IAN Murray.” 신학정론 24, no. 1 (2006년 6월): 167-191. 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1662228 (2015년 7월 23일 검색). (DBPIA 로그인 필요)

2. 청중 이해

  • 박태현 (총신대신대원 실천신학 교수). “마틴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의 설교론 비교 연구.” 리폼드 뉴스 (2015년 3월 2일). http://m.reformednews.co.kr/a.html?uid=3985 (2015년 7월 22일 검색).
  • 장경진. 교육목회에 있어서 설교자의 역할– 청중이해와 설교적용 = The Preacher’s Roles in Educational Ministry : Audience and Application.” 기독교교육정보 39 (2013년 12): 213-239. 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3467794 (2015년 7월 23일 검색). 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송영필. 청중이해를 통한 설교전달방법 연구 = Study on preaching transmission considering audience’s understanding.” 석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, 2013. 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033087 (2015년 7월 22일 검색).

3. 설교 이해

4. 본문 이해

5. 주해 이해

  • 박철현. “설교를 위한 구약 내러티브 본문 주해- 설교를 위한 오경 내러티브 이해(창 29:31~30:24).”  헤르메네이아 투데이 51(2011년 3월): 101-117.  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3285962 (2015년 7월 23일 검색).  (DBPIA 로그인 필요)
  • 이승진 (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설교학 교수). “내면화된 메시지를 위한 설교준비.” 목회와 신학  (2007년 4월).( http://www.duranno.com/moksin/detail.asp?cts_id=61737 (2015년 7월 23일 검색).

6. 이미지화하기

7. 설교 전달

  • 송영필. 청중이해를 통한 설교전달방법 연구 = Study on preaching transmission considering audience’s understanding.” 석사학위논문, 총신대학교, 2013. 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033087 (2015년 7월 22일 검색). (RISS 로그인 필요)
선교 신학

선교 신학

<– 목차로 돌아가기 

A. 소논문

  1. 김지찬. “선교적 교회, 성경적인 미래의 교회론이다.” 데오스엔로고스. http://www.theosnlogo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86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2. 신성주. “선교적 교회론이 살길이다.” 코람데오닷컴. http://www.kscoramdeo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673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1. 양제영. “정의 평화가 교회의 예언가적 사명.” 뉴스 http://www.newsm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917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2. 양희송. “청년 사역, ‘감’은 잡았는데 ‘답’이 안 보인다: 청년 사역자 설문 조사 결과 분석.” 청어람 ARMC. http://ichungeoram.com/8852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1. 이태웅. “선교적 교회론과 제자도 교회와 제자도, 하나님의 최상의 선교전략.” 한국글로벌리더십연구원. http://kgli.org/index.php?mid=reference&category=153&document_srl=295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1. “선교적 교회론과 제자도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론의 관계.” 한국글로벌리더십연구원. http://kgli.org/index.php?mid=reference&category=153&document_srl=291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2. 지성근. “교회의 존재양식을 묻는다: 선교적 교회론 보냄받은 교회론 (Missional Ecclesiology).” In His Story. http://1391.tistory.com/m/post/40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3. 황영익. “미션 임파서블 ‘카페 목회’에 도전했다면.” 뉴스앤조이. http://m.newsnjoy.or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98441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4. 강아람. “선교적 교회론의 성경적 근거: 크리스토퍼 라이트의 선교적 해석학을 중심으로.” 선교신학, 34(2013): 11-46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175848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5. 박원길, 황병준. “선교적 교회를 위한 목회 리더십 연구.” 복음과 실천신학, 35(2015): 43-7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500298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6. 신경규. “선교적 교회론의 과제에 관한 통합적 고찰=A Holistic Study on the Task of Missional Church.” 선교신학, 39(2015): 249-28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899651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7. 안승오. “선교적 교회론과 예배=Missional Ecclesiology and Worship.” 선교신학, 36(2014): 135-16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182449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8. 이상훈. 선교적 교회를 통한 목회 패러다임의 갱신=A New Paradigm for the Ministry Renewal based on Missional Church.” 복음과 선교, 20(2012):89-118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574125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9. 이승진. “선교적 교회론과 교회 갱신 방안=Missional Ecclesiology and Church Renewal Methods.” 선교신학, 30(2014): 229-26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99938182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10. 최동규, “선교적 교회의관점에서 본 교회.” 선교신학, 36(2014): 327-353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276124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11. “선교적 교회개척의 의미와 신학적 근거 = The Meaning of Missional Church Planting and Its Theological Foundations.” 선교신학, 28(2011): 263-290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82759202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12. 한국일. “선교적 교회의 실천적 모델과 원리: 한국교회 현장으로부터 배우는 선교적 교회= Missional Church’s Practical Models and Principles: Missional Church That Learns from the Fields of Korean Church.” 선교신학, 36(2014): 355-401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276125 (2015년10월29일검색).
  13. “한국적 상황에서 본 선교적 교회: 지역교회를 중심으로=Missional Church in the view point of the Korean Local Church.” 선교와 신학, 30(2012): 75-11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60256801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14. 홍기영. “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선교.” 선교신학, 36 (2014): 403-444. http://www.riss.kr/link?id=A100182455 (2015년10월29일검색).

 

학위논문

  1. 김성완. “선교적 교회의 통전적 선교사역 연구: 한국 지역교회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Holistic Mission of the Missional Church.” 석사학위논문, 협성대학교, 2015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780069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2. 박원길. “선교적 교회를 위한 목회 리더십 연구=A Study on the Pastoral Leadership for Missional Church.” 박사학위논문,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, 2015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747799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3. 서평강. “선교적 교회와 리더십에 관한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2015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3657971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4. 이관용. “선교적 교회의 제자도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2012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2837264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5. 이사무엘. “선교적 교회 안에서 선교적 리더십의 실천적 연구.” 석사학위논문,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2010. RISS, http://www.riss.kr/link?id=T11930007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
 

C. 단행본

  1. Van Gelder, Craig, Dwight J. Zscheile. 선교적 교회론의 동향과 발전, 최동규 옮김. 서울: 기독교문서선교회, 2015. http://www.riss.kr/link?id=M13777561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  2. 한국선교연구원. 선교적 교회, 서울: 한국해외선교회출판부, 2012. http://www.riss.kr/link?id=M13163808 (2015년 10월29일 검색).

 

D. 영상

  1. BCN TV. “이진오 목사의 건강한 작은교회 이야기 1강 – 교회란 무엇인가,” YouTube Web site, YouTube video, 26:48, 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c6-_exESqiY&index=9&list=PL3A2918B292207047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  2. Evangelical Alliance. “Tim Keller on Evangelism in the 21st Century,” YouTube Web site, YouTube video, 10:56, 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DHQBoLo31Ns&list=PL3A2918B292207047&index=8 [2015년 11월 6일 검색].

 

<– 목차로 돌아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