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편

시편

 

← 목차로 돌아가기

 

  1. 강소라. “시편 1권의 ‘복 있는’ 구절에 나타난 행복.” 성서학 학술세미나, (2009): 1-10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79134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2. 강정주. “시편 132편과 다윗 언약.” 개신논집 6 (2006.11): 63-91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202251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3. 김경식. “바울은 왜 로마서 2장에서 행위 심판을 말하는가?.” Canon&Culture 1 (2007): 239-271.
   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7750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4. 김근주. “마태복음의 시편 사용 연구.” 성경원문연구 26 (2010): 89-112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269053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5. 김상기. “시편 1편의 구조적 이해.” 성경원문연구 32 (2013): 50-70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268229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6. 김성수, “시편의 해석 방법과 설교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52 (2011): 33-54. http://www.dbpia.co.kr/Article/NODE0228095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7. 김수천. “시편에 나타난 삶의 세 주기(Oriented, Disoriented, Reoriented)의 영성 고찰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3 (2017): 257-282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709105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8. 김정우. “구성적 관점에서 본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들(시편 120-134)의 통일성.” 신학지남 77 (2010): 13-32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554793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9. 김창주. “‘행복’과 ‘복’의 이중주.” 성경원문연구36 (2015): 51-79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295830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0. 김태경. “시편의 경제 신학 및 경제 윤리에 관한 연구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82 (2012): 75-98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288657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1. 문은미. “시편의 구성적 접근을 통한 시편 제4권의 이해.” Canon&Culture 3 (2009): 177-209. Print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2280917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2. 민경구. “시편23편에 나타난 שוב 이해.” 피어선 신학 논단 4 (2015): 195-214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518258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3. 박영준. “시편 49편의 편집사적 이해.” Canon&Culture 5 (2011): 155-186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406516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4. 박영희. “하나님의 호칭으로서의 משכבי와 시편 62편 7절의 새 번역.” 신학논단 67 (2012): 43-62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820925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5. 박형대. “신약의 시편 설교.”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52 (2011): 107-123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2280956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6. 방정열. “시편 제1-3권의 정경 형성 단계에 대한 고찰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03 (2017): 63-90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7091045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7. 이윤경. “쿰란 시편사본과 페셰르 시편을 통해 본 쿰란공동체의 신학.” Canon&Culture 10 (2016): 147-171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6727101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8. 이희성. “시편 89편과 이사야 55장의 상관성 연구.” Canon&Culture 10 (2016.4): 91-121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727099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19. 전봉순. “시편 73편의 ‘마음’에 대한 연구.” 신학전망160 (2008.3): 2-24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1873567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20. 하경택. “‘세계의 어머니’로서의 시온.” 장신논단 47 (2015): 13-41. http://insight.dbpia.co.kr/article/metrics.do?nodeId=NODE06390232 (2017년4월1일 검색, RISS 로그인 필요).
  21. 김정우. 시편의 양식과 양식분석적 방법. 신학지남, 74(3), (2007) 9-34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0904788

  22. 유윤종. “시편의 최근 연구 동향.” 구약논단, 15(2), (2009) 30-62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413601

  23. 이학재. “시편 1편과 2편의 상호 연관성(Inter-Textuality).” 개신논집, 12, (2012).  33-57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2418746

  24. 이학재. “시편 119편의 각 Strophe에 나타난 운율의 강조점을 통한 신학적 이해.” 개신논집, 8, (2008).  27-53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1202265

  25. 김이곤. “시편 3편의 분위기 급전에 끼친 거룩한 전쟁 이념의 영향.” 한신논문집, 11, (1994) 5-28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0124164

     

  26. 손종희. “אני אמלך” – 다윗 왕위 계승 순위의 뒤틀림. 구약논단, 22(2), (2016) 98-131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413903

  27. 방정열. “시편 표제어 유무(有無)에 대한 정경적 해석의 가능성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, 106, (2017) 11-37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246652

  28. 이환진. “시편 속에는 모든 것이 다 들어있다.” 신학과세계 89. (2017) 7-57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158461

  29. 방정열. “시편 제1-3권의 정경 형성 단계에 대한 고찰.” 한국기독교신학논총, 103, (2017) 63-90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091045

  30. 왕대일. “제단에서 강단으로, 제물에서 말씀(토라)까지.” 신학과세계, (91), (2017) 9-49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286572

  31. 문은미. “시편의 구성적 접근을 통한 시편 제4권의 이해.” Canon&Culture, 3(2), (2009) 177-209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2280917

  32. 문은미. “시편의 구성적 접근를 통한 시편 107편의 이해 – 시편 제5권의 서론으로서 시편 107편의 기능과 메시지를 중심으로.” 한국개혁신학 25. (2009) 261-291. http://kiss.kstudy.com/thesis/thesis-view.asp?key=2771351

  33. 석진성, “시편 1권에 나타난 창조 주제의 신학적/해석학적 기능.” ACTS 신학저널,  38, (2018) 41-75.
    http://kiss.kstudy.com/thesis/thesis-view.asp?key=3650423

  34. 이기락. “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성서학적 고찰- 창세 1-2장의 인간 창조 설화와 시편 8편을 중심으로.” 가톨릭신학과사상, (7), (1992). 34-53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1543610

  35. 김이곤. “이스라엘 민족형성사에 대한 역사해석상 고찰 -히브리 역사가들의 역사이해를 중심으로-.” 신학연구, 18, (1977) 7-54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0123766

  36. 방석종. “시편 50과 제의 비평.” 신학과세계, (22), (1991) 27-49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1754885

  37. 왕대일. “시편의 신학 – 시내산과 시온산.” 구약논단, 15(2), (2009) 10-29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413600

  38. 김태훈. “성서신학 : 시편 45:6의אֱ֭לֹהִים 은 인간 왕인가 야훼 하나님인가? –  כִּסְאֲךָ֣ אֱ֭לֹהִים עוֹלָ֣ם וָעֶ֑ד

     의 번역과 이해에 대한 연구.” 신학과선교, 39, (2011), 201-223. http://kiss.kstudy.com/thesis/thesis-view.asp?key=3107109

  39. 안근조. “시편 80편의 다의성.” 구약논단, 24(2), (2018) 93-117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512255

  40. 이일례. “시편 109편 6-19절은 시인의 기도인가? 원수들의 저주인가?” 구약논단, 24(3), (2018) 172-200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536563

  41. 이일례. “개인 탄원시에 나타나는 유일신 개념과 신정론 – 시편 4편을 중심으로.” 구약논단, 21(2), (2015) 38-64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413869

  42. 김상기. “시편 73편: 소위소치관계 문제와 관련하여.” 신학연구, 55, (2009) 8-48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1448140

  43. 박영준. “시편 49편과 전도서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.” 신학과선교, 40, (2012), 183-210. http://kiss.kstudy.com/thesis/thesis-view.asp?key=3110493

  44. 유윤종. “사해사본 11QPs<SUP>a</SUP>와 시편의 정경화.” 신학논단, 43, (2006). 235-248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1615059

  45. 이환진. 쿰란 공동체가 남긴『시편 두루마리』(11QPs<SUP>a</SUP>) 속의 일곱 시편. 신학과세계, (53), (2005) 7-35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1666253                

  46. 최영숙. “히브리서 3:7-19의 시편 95편 사용.” 신약논단, 25(2), (2018) 435-466.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/NODE074784

 

 

← 목차로 돌아가기